과도한 치료는 오히려 해로워 기존 가이드라인보다 완화된 입장 담아

▲ ACP가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6일 발표했다. ACP 홈페이지 화면 캡쳐

미국내과학회(ACP)가 완화된 제2형 당뇨병 관리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당장 목표 당화혈색소(A1C) 달성 기준을 6.5~7%가 아닌 7~8%로 정정했다. 국내 가이드라인과 다르다는 점에서 또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ACP는 6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당뇨병 관리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같은날 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실었다.

이같이 권고한 배경으로 ACP 의장 Jack Ende 박사는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새로운 혈당 목표기준이 사망, 심장마비, 뇌졸중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을 줄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상당한 위험이 있었다"며 "하지만 A1C를 7~8%로 맞추면 저혈당, 약물부담, 비용등과 같은 위해성와 장기적 혜택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서 이보다 낮은 치료 목표(7 % 이하 또는 6.5 % 미만) 기준을 제시했던 기존 가이드라인은 적극적인 혈당조절이 장기적으로 미세혈관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감소로 인한 혜택에서 일관성이 없었고, 소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미세단백질뇨 개선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현재 A1C가 6.5% 미만인 환자는 약물 복용량을 줄이거나 환자가 하나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면 약물을 중단하는 것이 권고했다.

Ende 박사는 "모든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6.5%를 달성해도 건강 예후가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이 입증됐다.  현재 A1C 6.5% 미만인 환자들의 경우 약물 중재를 줄이면 사망, 심장마비, 뇌졸중, 신부전, 절단,장애, 신경병증에 부적용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약물으로 인한 손상, 부담,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ACP는 80세 이상 고령층이거나 치매, 암, 말기신부전, 중증 COPD, 울혈성 심부전, 요양병원 거주자 등의 만성 질환 있는 환자의 경우 만성질환으로 인한 잔여 수명이 10년 미만이라고 판단될 경우 목표 혈당을 달성하기 보다 고혈당과 관련증 증후군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선회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는 오히려 고령층은 적극적인 치료가 위해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언급한 것이다.

이와 함께 약물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 개선으로 목표혈당에 달성할 수 있다면 이를 통해 더 낮은 목표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ACP가 기존 가이드라인과 대치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현재 목표 혈당 논란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외국의 주요 근거를 토대로 A1C 6.5%를 권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