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과 알파차단제 비뇨기과는 5α효소억제제, 항콜린제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약물 복용률이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떨어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전문과별 처방 패턴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뇨기과학재단(이사장 천준, 고려대 안암병원)은 설문조사를 통해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고령환자의 비뇨기과 전문의 치료율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제7회 블루애플캠페인’의 일환으로 배재현 교수(고려대 안산병원)팀이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100만명 빅데이터를 이용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16만2773명을 대상으로 치료 실태 및 약물 복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이다.

전립선비대증은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꾸준히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2016년 전립선비대증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2만3903명으로 2005년 3776명 대비 6배 이상 증가했다.

 

고령 환자의 경우 다수는 비뇨기과 외 타 과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2016년 기준으로 50대 미만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85.3%가 비뇨기과 진료를 받고 있었던 반면, 80대 이상의 환자들은 49.7%의 환자들만이 비뇨기과 전문의로부터 전립선 관련 약물을 처방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경우 동반된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높아, 환자들이 동반 질환 치료를 위해 비뇨기과가 아닌 타과 병원을 방문해 전립선 약물을 동시에 처방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전립선비대증 치료를 받는 환자의 53%는 고혈압, 당뇨병 등 다른 만성 질환 약물을 1개 이상 복용하고 있었으며, 진료과별 전립선비대증 약물의 처방 비율에서도 타과 전문의 중 내과가 58.4%로 가장 높고, 이어 피부과(8.3%), 가정의학과(8%), 외과(7.2%)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타과 전문의를 통해 처방된 약물은 대부분 1차 치료제인 알파차단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잡성 증상 치료를 위한 약물의 처방률은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립선비대증 약물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알파차단제의 타과 처방 비율은 2016년 기준 36.9%, 복합적인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5알파환원효소억제제와 항콜린제제의 타과 처방 비율은 각각 33.7%, 25.6 %로 분석됐다.

 

성분별 비뇨기과 전문의 처방 대비 타과 전문의의 처방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타 과에서는 비선택적 알파차단제와 같이 전립선 선택성이 낮고 출시가 오래된 약물의 처방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전립선 선택적 알파차단제나 동반된 배뇨장애 증상 개선을 위한 전문 약물 처방률은 25%에 불과했다.

연구를 주도한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 교수는 “전립선비대증이 진행하게 되면 환자들의 삶을 현격하게 저하시키는 빈뇨, 절박뇨, 야간뇨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요폐, 요로감염, 방광결석, 신장기증 저하 등 심각한 합병증까지도 야기할 수 있다”며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나이와 증상을 고려한 환자 맞춤형 전문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대한비뇨기과학재단 천준 이사장은 “이번 분석 결과를 통해 그 동안 많은 전립선비대증 치료가 타 과의 단순 알파차단제 처방으로 이뤄진 것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대한비뇨기과학재단은 진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고령 환자들의 질환과 치료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