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양성일 국장, 복지부 R&D 투자규모도 전체 2.7% 불과

복지부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이 새 정부의 보건산업 정책과 지원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보건의료 R&D 분야 투자 비중이 미국과 영국의 3분의1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산업을 타 산업과 융합해 미래형 신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상황에서 R&D 투자부족은 한계점으로 지적됐다. 

보건복지부 양성일 보건산업정책국장은 15일 2017 바이오융합테크 콘퍼런스에서 새 정부의 보건산업 정책과 지원방향에 소개하면서 보건의료 R&D 투자 부족을 비롯한 제도적 기반 미비를 문제로 지적했다. 

양 국장에 따르면 지난해 보건의료 R&D 투자는 1.55조원으로 정부 총 R&D 19조원의 8.16%였다. 이는 미국(24%), 영국(12%)의 3분의1 수준이다. 

특히 복지부 R&D 투자규모는 정부 전체 R&D의 2.7%에 불과했다.

또한 매출 1조원이 넘는 제약업체가 2곳에 그치는 등 선진국 대비 국내 기업이 영세해 기업의 R&D 투자여력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양 국장은 "고령사회 진입 및 감염병 등 사회문제 해결 필요성이 증대하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보건의료산업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복지부는 생애 전 주기 보건의료 R&D 투자를 해야하며 신산업 융합 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반대로 국내 보건의료산업의 강점으로는 선진 의료시스템 보유와 세계 최고 수준의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의료기술, 글로벌 진출 경험을 들었다.

국내 병원 전자의무기록(EMR) 보급률은 92%로 미국 60% 보다 높은 수준이며, 전국민 단일보험체계, 건강검진정보 등으로 대규모 의료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지난 2015년 ICT 발전지수 세계 1위에 선정되는 등 세계 수준의 ICT 기술 및 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의료 한류로 해외진출 및 환자 유치도 확대되는 추세다.  

양 국장은 "제조 경쟁력과 ICT, 서비스 등의 융합을 통해 미래형 신산업으로 보건의료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국정과제"라며 "R&D 투자규모 확대 및 미래 신약개발 R&D 플랫폼 구축 추진, 신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마련, 해외진출을 위한 현지화 전략 지원체계 마련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