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연구진 추적결과…기존 흡연 환자 49.7% 흡연 지속

담배를 피우던 뇌졸중 환자나 심근경색 환자 중 절반이 여전히 담배를 끊지 못하고 계속 흡연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는 신한대학 김현숙 교수, 서울대병원 임유경 전공의와 공동으로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자료를 바탕으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심뇌혈관질환을 겪은 1700여 명을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들 환자 중 486명(28.6%)이 발병 이전 담배를 피웠던 것으로 확인됐다.

흡연자 가운데  342명(70.4%)은 뇌졸중이 발병했고, 134명(27.6%)은 심근경색 등의 원인인 관상동맥 질환과 같은 허혈성심질환 환자였다. 나머지 10명은 두 질환이 한꺼번에 온 경우다.

 

생명을 앗아갈 뻔 했을 뿐 아니라 심각한 후유장애를 겪을 수도 있는 이들 질환을 동반해도 여전히 담배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뇌졸중 첫 발병 5년 후 재발할 위험이최대 40%에 달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환자 스스로 자신을 더 큰 수렁으로 밀어 넣는 격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연구팀 부연이다.

문제는 발병 이후다. 대상군 1700명의 흡연율을 보면 발병 이전 28.6%에서 16.3%로 절반도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 오히려 담배를 끊지 못하고 계속 피우거나 다시 또는 새로 피우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기존 흡연환자 486명 가운데 49.4%인 240명은 흡연을 지속했고, 하루에 반갑 이상 그리고 30년 이상 흡연을 하던 사람이 지속적으로 흡연하는 경우도 더 많았다.

담배를 끊었다가 도로 핀 경우도 있다. 발병 이전 금연에 성공했던 194명 중 13명(6.7%)는 다시 담배를 폈다.

또 담배를 입에도 댄 적 없었던 24명은 발병 이후 담배를 처음으로 손을 댄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심혈관 질환 발병 이후 나타난 우울감이나 상실감 등이 배경으로 풀이돼다. 일반적으로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전체 인구 대비 우울증 유병율이 2~3배 더 높다.

연구팀은 "이러한 환자들이 치료 후 다시 담배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면서 "입원 기간 동안 금연 교육을 집중할 경우 금연에 성공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아진다는 기존 연구들을 근거로 이러한 기회를 더욱 더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신동욱 교수도 "일반적으로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같은 치명적인 혈관질환을 경험하면 건강행동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았다"면서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흡연을 지속하고 있는 만큼 이들을 돌보는 의료진들이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금연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금연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의학도서관의 학술지인 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