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부터 시작된 사상 최장의 추석연휴를 앞두고 제약사를 겨냥한 리베이트 조사가 시작됐다는 소문이 돌았다. 

서부지방검찰청에서 제약사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나왔다는 내용으로 이는 결국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식약처 중앙위해조사단이 시작한 서울 S의원 관련 리베이트 조사가 서부지검으로 이첩됐으며, 관련 제약사들의 명단이 암암리에 돌고 있는 '사실'에 기반한 '소문'이었지만, 리베이트 조사라는 말에 화들짝 놀라는 것은 제약업계 현실을 반영한 씁쓸한 해프닝일 수 밖에 없다.

최근 몇년 사이 검경을 비롯한 수사기관의 칼 끝이 제약사를 향하고 있다. 

이름만 대면 알만한 유명 국내제약 D사를 비롯해 60억원 최대 리베이트 규모라는 불명예를 갖게된 P사, 다국적사 등 굵직한 리베이트 조사가 이어져왔다. 

현재도 D사와 K 제약사가 리베이트 의혹에 연루돼 있고, 모 도매업체 수사와 관련된 제약사, 모 의료기관 조사와 관계있는 제약사 등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는 조사에 리스트까지 만들어졌다.

실제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이 밝힌 바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적발된 인원이 11배, 불법 리베이트 수수 금액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8건이었던 불법 리베이트 사범은 2016년 86명으로 11배 폭증했고, 제공된 리베이트 금액도 같은 기간 동안 71억 8300만원에서 155억 1800만원으로 늘었다는 것. 심지어 한 회사가 5차례나 적발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의 리베이트 근절의지가 강해지면서 그동안 만연했던 불법 리베이트 행위가 수면 위로 드러나 적발 사례가 많아진 것이며, 오히려 이를 계기로 자정문화가 형성될 것이라는 긍정의 메시지로 해석하기도 한다.

제약업계 역시 털어서 먼지 안나는 회사는 없지만 자정하려 노력 중이고, 과거에 비해 나아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이미 시행된 김영란법과 내년부터 의무화되는 지출보고서 작성, 공정거래법 재정비 등 일련의 대내외 환경 변화가 리베이트 쌍벌제와 투아웃제 시행 당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이 같이 된다면 리베이트 조사 연관 제약사 리스트를 보면서 "우리 회사 직원은 일을 안하나"라는 우스갯 소리를 한 모 제약사 관계자의 말 처럼 지금보다는 더 많은 제약사가 서부지검 'ㅅ' 또는 리베이트 'ㄹ' 에서 자유로워 지지 않을까.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