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로워하는 표정 생생
의학적으로 봐도 완벽




그리스 로마 신화의 `트로이의 목마` 이야기 가운데 사제 라오콘(Laokoon)은 그리스 군인들이 숨어 있는 목마를 성 안으로 받아들이면 트로이 성은 함락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자 비밀을 누설한 것에 화가 난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두 마리의 독사를 보내 그와 그의 두 아들을 칭칭 감아 죽게 했다. 이러한 신화의 이야기를 조각으로 표현한 작품이 `라오콘과 군상(群像)`(기원전 150년 전경, 로마 바티칸 미술관, 그림 1)이다.
 이 작품은 1506년 로마에서 발견된 헬레니즘 최대의 걸작으로 당시 미켈란젤로를 비롯한 많은 예술가들은 이 작품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작품 `라오콘`은 저주받은 죽음과 힘겹게 싸우는 인간의 모습과, 복잡하게 뒤틀리고 꼬인 독사들을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다.
 신음하는 라오콘의 얼굴은 후에 십자가에 못 박혀 고난당하는 그리스도의 얼굴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고대문헌에 의하면 이 작품은 세 사람의 조각가 하게산드로스(Hagesandros), 아테노도로스(Athenodoros), 폴리도로스(Polydoros)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앞에서 봐도 등 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상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포즈와 뒤틀린 근육, 드러난 갈빗대와 뱀의 독에 의해 부어 노장(怒張)된 혈관 등 사실주의의 모든 기법이 이용됐다. 조각가는 주인공 라오콘의 고통과 절망을 강조하기 위해 성숙한 두 아들의 크기를 줄였다. 몸의 모든 근육과 힘줄에서 고통이 감지된다. 얼굴은 말할 것도 없고, 무섭게 뒤틀린 하체와 몸의 모든 부분에서 우리는 고통을 느낄 수 있다. 분노의 감정 없이 고통을 참고 있는 모습을 얼굴과 몸 전체에서 볼 수 있다. 그러기에 보는 이에게도 아픔이 전해진다.
 한 마리의 뱀은 라오콘의 한 팔에 감겨 있고 다른 한 마리는 라오콘을 두 아들과 함께 대리석에 엮어놓은 것 같이 다리 사이로 내려오고 있다. 라오콘은 고통으로 일그러진 얼굴로 모든 힘을 모아 뱀에게서 벗어나려 하였지만 잘 되지 않는다. 그의 왼쪽에 있는 큰아들의 팔과 다리를 문 뱀은 이제 라오콘의 옆구리를 물고 있다. 오른쪽의 작은 아들은 다른 뱀에게 물려, 죽어 가면서 두려움에 가득 차 구해달라고 아버지를 바라보지만 아버지도 어쩔도리 없이 하늘만 처다 보며 신의 자비를 바라고 있다.
 이렇듯 라오콘과 두 아들의 얼굴과 몸의 움직임에서 우리는 두려움과 고통, 회의를 볼 수 있어 이 작품은 육체적 고통의 극치를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몸에 뱀이 감겨서 억센 힘으로 조이는 경우 사람은 자기의 몸을 방어하기 위해 있는 힘을 다 해서 이를 제거하려 노력하게 된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혈압이 오르고 땀이 비 오듯 흐르게 되고 신음소리가 절로 나오게 된다.
 육체적인 동통이 격심해지면 턱은 고정되고 이(齒)는 입술을 물게 되고 입술은 옆으로 당겨진다. 콧구멍은 벌어지며 눈은 크게 부릅뜨게 되고 얼굴은 충혈 되고 측두(側頭)와 전두(前頭)부의 정맥은 확장되며 호흡은 거칠어진다. 소리를 지르게 되어 입은 자동으로 벌어진다. 전신의 근육에 힘을 주기 때문에 몸은 긴장되어 굳어진다.
`라오콘과 군상`에서 보는 것과 같이 뱀이 우리 몸을 휘감고 조이는 경우 우선 아픔은 피부와 근육 같은 신체의 표면에서 감지되는데 이것을 체성통(體性痛)이라 하고, 이러한 이상 자극이 내장에까지 파급되면 이것을 내장통(內臟痛)이라 한다. 내장의 아픔이 신경을 통해 특정한 부위의 피부나 근육에 아픔으로 나타나는 것을 관련통(關聯痛)이라하고 하는데 관련통이 지속되면 감각은 없어지고 흉부의 근육에는 경련이 일어나고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의식은 점점 희미해진다.
 이것이 격심한 육체적인 고통을 받을 때의 사람의 얼굴과 몸에 표출되는 변화인데 라오콘의 얼굴과 몸에서는 이러한 변화들을 모두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조각가들은 이 작품에 앞서 많은 연구와 관찰이 있었던 것 같다.
 이 조각 작품을 좀 더 실감나게 감상하기 위해 뱀에 물렸을 때 우리 몸에 일어나는 변화를 잘 표현한 오귀스트 클레징게르(Augeste Jean-Baptiste Clesinger 1814~83)의 조각 작품 `뱀에게 물린 여자`(1847, 파리, 오르세 미술관, 그림 2)를 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뱀의 독은 뱀의 종류에 따라 신경독을 함유한 것과 혈액독을 함유한 것으로 나누게 되는데 혈액독이 몸 안에 들어오면 그 독이 혈관 내피세포나 조직세포의 효소를 파괴하고 혈액을 용혈(溶血)시키게 된다. 신경독인 경우에는 신경의 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우리 몸에 경련이 일어나는 것은 신경분포 및 동통(疼痛)과 관련이 있다.
 즉, 근육과 뼈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근막(筋膜)이나 골막(骨膜)에는 신경의 말단이 분포하기 때문에 통증을 느끼는 부위이며 또 관절은 이를 움직이는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에 의해 지배되기 때문에 근육의 긴축(緊縮)이 관절에도 나타나며 경련을 일으켜 작품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몸은 뒤틀리게 된다. 이상은 우리 몸에 뱀의 독이 들어왔을 때 일어나는 경련의 기전을 간략하게 기술한 것인데 뱀의 독에 의한 전신 경련의 기전과 양상에 조금의 모순도 없이 표현된 것이 `뱀에 물린 여자`다.
 라오콘에 대한 작품 연구는 주로 미켈란젤로를 위시한 이탈리아 미술가들에 의해서 이뤄졌는데 스페인의 종교화가 엘 그레고(El Grego 1541~1614)도 잠시 로마에 머물렀던 관계에서인지 `라오콘`을 주제로 그림(1610, 워싱턴, 국립미술관, 그림3)을 그렸다. 그림은 톨레도를 트로이로 상상하고 그렸기 때문에 멀리 톨레도를 배경으로 앞부분에 세 사람의 나체로 된 남자가 두 마리의 뱀에 의해 공격을 받아 두 남자는 땅에 쓰러져있다.
 그림의 중심에서 오른손에 뱀의 머리를 쥐고 왼손으로 뱀의 몸통을 쥐고 뱀의 공격을 피하고 있는 것이 라오콘인데 뱀이 그다지 크지 않아 라오콘이 충분히 뱀의 공격을 물리칠 수 있을 것 같다.
 그림 왼편에 있는 라오콘의 작은 아들도 뱀의 공격을 받고 있는데 뱀의 꼬리와 몸통을 쥐고 있으며 뱀의 머리를 잡지 못해 물리기 직전의 상태에 있으며 라오콘의 우측에 쓰러져있는 큰 아들은 이미 뱀의 공격을 받아 죽은 듯이 움직이지 않고 있다. 이 그림에는 뱀의 공격을 받는 라오콘과 두 아들의 고통은 전연 표현되어 있지 않고 단지 신화 `트로이의 목마`에 나오는 라오콘은 비밀을 지키지 않아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사서 그가 보낸 두 마리의 뱀에 의해 물려 죽었다는 스토리를 표현한 것에 불과하며 또 뱀의 독에 의해 사망한 표현인 `뱀에 물린 여자`에서 보는 것과 같은 표현이 없어 화가는 단지 종교적인 의미만을 표현하고 있다. 즉, 그림의 오른편에도 두 사람인지 세 사람인지 분명하지 않은 사람이 서 있는데 이들도 모두 나체로 되어있다. 이렇게 사람을 모두 전 나체로 표현한 것은 죄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교화가인 그레고가 볼 때는 비밀을 누설한 것은 죄인이며 이를 방관한 사람들도 모두 죄인이며 죄인은 모두 라오콘과 같이 죄값을 치르기 위해 고통을 받아야 함을 표현한 것 같다.
 이렇듯 같은 주제를 갖고도 화가나 조각가가 무엇을 중점으로 표현할 것인가에 따라 그 표현 방식은 전혀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라오콘` 조각은 인간의 육체적 고통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의학적인 증상으로도 조금도 흠 잡을 데가 없는 걸작중의 걸작이다.

◇문국진 박사 약력
△고려대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자연과학부 회장
△대한법의학회 명예회장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