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국가책임제' 이달 말 구체적 방안 도출...치매치료제 개발 국내사 성공땐 ‘잭팟’
업계 “정부 R&D 지원 방식 장기적 관점 전환해야” 제언

▲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문재인 정부의 핵심 공약인 '치매 국가책임제'의 구체적 방안이 가시권으로 들어오자 제약업계도 덩달아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제약사도 개발에 실패하며 난공불락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치매치료제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치매 분야를 역점사업으로 삼은 만큼 치료제 개발에 대한 R&D 지원 등 경제적·정책적 지원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에 업계는 고무적이다. 다만, 제약업계에서는 치매치료제 개발에 대한 새 정부의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정부의 지원 방식이 바뀌어야 할 때라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사 치매치료제 개발 속도전

문 대통령의 강력한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의지에 치매치료제 시장에 대한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현재까지 여러 국내 제약사가 치매치료제 신약을 개발 중인데, 치매국가책임제의 세부적인 내용에 따라 신약이 출시될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제약업계에서는 치매치료제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약 15조 원 규모를 형성, 오는 2020년 약 23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정부까지 나서자 국내 제약사들의 치매치료제 개발도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재까지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치매치료제를 개발 중인 국내 제약사는 11곳이 넘는다. 우선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대화제약, 제일약품, 일동제약 등은 천연물을 활용한 초기 임상시험에 돌입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개발 중인 DA-9803을 통해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키고 신경세포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대화제약은 최근 천연물 치매치료제 DHP1401의 임상 2b상 첫 대상자가 등록, 본격적인 임상시험을 개시했다. 해당 물질은 사람의 치매 유발 유전자를 갖고 있는 치매모델(5XFAD transgenic mouse)에서 치매 유발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억제하고, 신경세포 보호 효과와 감퇴된 기억력이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일동제약의 ID1201은 현재 임상2상을 진행 중인데, 체내에서 알파세크레아타아제라는 효소를 촉진시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억제하고,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기전으로 한다. 보령제약과 SK케미칼은 패치형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아울러 메디포스트, 지엔티파마, 아이큐어, 젬벡스앤카엘 등 바이오제약사도 치매치료제 개발에 한창이다.  

▲ ⓒ메디칼업저버

‘난공불락’ 치매…치료제 개발 성공하면 '블록버스터 예약’

국내에서도 치매치료제 개발에 한창이지만, 사실 치매치료제는 현재 넘지 못할 산이었다. 글로벌 제약사들도 치매치료제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제약협회에 따르면 1998~2014년까지 치매치료제 개발 프로젝트는 약 127건에 달했는데, 이 중 123건이 실패했다. 

실제 일라이릴리는 알츠하이머치료제 솔라네주맙 개발에 약 11조 원 이상을 쏟아부었지만, 지난해 임상3상에서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다. 지난 2월에는 MSD가 알츠하이머치료제 베루베세스타트의 임상2상과 3상을 중단하기도 했다. 화이자, 로슈, 노바티스 등 세계 유수의 제약사들도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현재 시장에 출시된 치매치료제는 완치제가 아니라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에자이의 아리셉트(도네페질), 노바티스 엑셀론(리바스티그민타르타르), 얀센 레미닐(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 룬드백 에빅사(메만틴염산염) 등이 대표격이다. 즉 아직까지 완치 가능한 치료제는 없다는 의미다. 

국내사들은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품목을 도입하거나, 제네릭을 개발해 판매하는 실정이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완치를 기반으로 한 치매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전 세계 블록버스터 약물이 될 수 있다. 이른바 잭팟이 터지는 셈"이라며 "이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개발에 매달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는 완치가 가능한 치료제가 없지만, 개발을 준비하는 제약사 입장에서는 반드시 성공시켜 세계 굴지의 제약사로 입지를 다지고 싶은 과제"라고 전했다. 

제약업계 "범부처, 미래를 보고 지원해야"

반면, 제약업계 일각에서는 정부의 R&D 지원 방식을 장기적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신약개발에 지원하는 범부처의 방식이 먼 미래를 내다보고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한 지원 방식이 아닌 근시안적 시각을 갖고 지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범부처에서는 개발할 경우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 후보물질에 R&D를 지원하는 게 아니라 성공이 가능한 것만 골라 지원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며 "정부는 성공을 성과의 지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약물을 만들려면 '성공할 것 같은 게 아니라 성공해야만 하는 것’을 지원하는 게 맞지 않느냐"라며 "장기적 안목을 갖고 지원하는 정부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은 만큼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관망하는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국내 제약사 한 관계자는 "복지부에서 아직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하지 않았기에 치매치료제 개발 관련 세부 내용이 발표될 때까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면서 "치매치료제 개발은 아직까지 개발 사례가 없을 만큼 어려운 분야이기에 새 정부 임기 이후까지 의약품 연구개발과 복지정책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미래지향적 시각을 갖는 게 우선인 것 같다"고 판단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